반응형 변수2 printf 출력문 기본이해 ( 데이터 타입에 따른 서식문자) 우리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프로그램이 내가 원하는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지 의문이 들때가 있다. 그렇기에 시각적으로 내 데이터가 정상 작동을 하는지 확인 하는 방법은 Log를 찍거나 printf문을 활용하여 문장으로 확인을 하는 방법이 있다. printf문은 기본적으로 우리가 C언어를 배울때 처음으로 배우는 내용이기도 하고, 디버깅하여 실행하면 볼수있는 문장으로 나타나기에 많이 사용한다. 그렇기에 Printf문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처리할수 있고 출력할 수 있다. ( ex. 각종 데이터 타입 변수, 숫자 등) printf문의 예시를 살펴보면 이렇게 정수형 데이터 타입이 들어가도 실행이 정상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정수형 데이터 타입에서 서식문자 %d가 들어가는데 다른 데이터 타입도 똑같이 .. 2022. 10. 13. C언어 - 변수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변수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변수(variable) 변하는 수라는 뜻인데요. 값이 특정지어지지 않아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는 문자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수학시간에서 함수를 배울 때 나왔던 x, y, z가 변수에 속한다고 할 수 있죠. x가 분명히 존재하지만 안에는 어떠한 수가 들어있는지 모르는 상태고 이걸 사용자가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변수란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요소인데요. 만약 이런 변수라는 개념이 없었다면 코딩을 할 때 계속해서 같은 값을 불러줘야 하고 우리가 지금까지 써온 모든 프로그램들과 게임들은 용량이 엄청나게 커져서 현재의 컴퓨터의 화려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일은 할 수 없었을 겁니다. 그럼 컴퓨터에서 변수가 하는 일들을 알려드리겠습.. 2020. 5.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