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코딩24

카멜케이스 변환기, 케이스 종류별 변환 케이스 변환기 소문자 대문자 카멜케이스 → 스네이크 케이스 스네이크 케이스 → 카멜케이스 띄어쓰기 → 카멜케이스 띄어쓰기 → 스네이크 케이스 2025. 3. 21.
텍스트 글자 수 세기 글자 수 세기 도구 전체 글자 : 0 공백 제외 글자 : 0 특수문자 : 0 줄 : 1 공백(띄어쓰기) : 0 2025. 2. 4.
이미지 따기 카카오 이모티콘샵 이미지 추출 및 저장 이미지를 클릭하면 파일로 저장됩니다. 하얀 배경 적용 이미지 추출 추출된 이미지: 여기에 이미지가 표시됩니다... 2025. 1. 23.
코틀린 조건문 IF 문 코틀린의 if문은 다른 언어들과 별 차이가 없다. fun main() { val num = -1 if(!(num > 10)){ // 10보다 작은 숫자들을 출력 println("해당 숫자는 10보다 작습니다. 현재 숫자 : $num") }else if(!(num > 15)){ //10이상 15미만의 숫자를 출력 println("해당 숫자는 10보다 큽니다. 현재 숫자 : $num") }else{// 15이상의 데이터들을 출력 println("15이상의 숫자입니다. 현재 숫자 : $num") } } when 문 코틀린의 when은 자바의 swith case다 fun main() { val num = 1//변수 when(num){// 조건에 사용할 변수를 선택한다. // 0일때 해당 데이터를 출력 .. 2024. 1. 7.
코틀린의 함수 fun main() { fun hello(str:String,count:Int): String{// 문자열 하나와 정수형 하나가 있는 함수를 생성한다. return "$str $count" //Hello newWorld! 3 }// 결과데이터는 문자형으로 내보낸다. println("${hello("Hello newWorld!", 3)}")// 콘솔에 나타날 문자를 출력한다. } 코틀린의 함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이걸 줄여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람다식이라고 하는데, 함수가 단순한 로직일 수록 평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두가지 버전 중에 좀 더 멋있는거 선택하면된다. 반환타입이 생략이 가능해서 생략하는 대로 사용 하면 된다. fun main() { val hello : (String,Int) -> S.. 2024. 1. 6.
코틀린의 변수 코틀린에 있는 변수는 Boolean : 0 또는 1, 참 또는 거짓의 논리자료형 Char : 16비트의 문자형 String : char로 이루어진 데이터 자료형 Byte : 8비트의 (+,-)부호가 있는 정수형 Short : 16비트의 (+,-)부호가 있는 정수형 Int : 32비트의 (+,-)부호가 있는 정수형 Long : 64비트의 (+,-)부호가 있는 정수형 Float : 32비트의 부동소수형 Doble : 64비트의 부동소수형 코틀린의 변수 정의는 var와 val이 있다. var는 variable으로 변수의 내용은 항상 바뀔 수 있다. val은 value로 const(상수)로 변수는 상수로써 변하지 않는 값을 가진다라는 의미다 코틀린은 또한 타입을 지정하거나 지정하지 않을 수 있다. 지정하지 않을.. 2024. 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