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un main() {
fun hello(str:String,count:Int): String{ // 문자열 하나와 정수형 하나가 있는 함수를 생성한다.
return "$str $count" //Hello newWorld! 3
}// 결과데이터는 문자형으로 내보낸다.
println("${hello("Hello newWorld!", 3)}") // 콘솔에 나타날 문자를 출력한다.
}
코틀린의 함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이걸 줄여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람다식이라고 하는데, 함수가 단순한 로직일 수록 평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두가지 버전 중에 좀 더 멋있는거 선택하면된다.
반환타입이 생략이 가능해서 생략하는 대로 사용 하면 된다.
fun main() {
val hello : (String,Int) -> String = {str,count -> "$str $count"}
println(hello("Hello newWorld!",2))
}
fun main() {
val hello = {str:String,count:Int -> "$str $count"}
println(hello("Hello newWorld!",2))
}
반응형
'코딩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틀린 조건문 (0) | 2024.01.07 |
---|---|
코틀린의 변수 (0) | 2024.01.06 |
코틀린을 왜 쓰는가? (0) | 2024.01.06 |